공모주 청약을 할 때 "몇 주를 넣어야 하나?", "배정은 어떻게 되는 거지?" 고민이 되는 분들을 위해!
공모주 청약 시 꼭 알아야 할 배정 방식과 최소 청약 수량에 대해 간단하게 정리해봤습니다.
✅ 공모주 배정 방식은 2가지
공모주는 개인 투자자에게 '균등 배정'과 '비례 배정' 두 가지 방식으로 나눠서 배정해요
1. 균등 배정(소액 투자자에게 유리!)
- 일정 수량을 모든 청약자에게 '동등하게' 배분하는 방식
- 최소 청약만 해도 운이 좋으면 1~2주 배정
💡중복 청약이 막힌 이후 균등 배정의 영향력이 커졌어요
2. 비례 배정(자금이 많을수록 유리)
- 청약 금액이 클수록 많이 받는 방식
- 경쟁률이 높으면 수백만 원을 넣어도 1~2주만 받는 경우도 있어요
✅ 배정 비율은 증권사마다 다름
2023년부터는 대부분 증권사가 <균등 50%, 비례 50%>로 배정하고 있어요
(일부는 30:70이나 100 비례도 존재)
배정 비율은 공고문에 잘 나와있어요 :)
✅ 최소 청약 수량은?
💰 10주 ~ 50주
통상 공모주 시장에서 최소청약단위는 10주, 20주가 보편적이었어요. 하지만 작년 하반기부터 50주로 최소청약단위를 높이는 기업들이 늘어나기 시작했어요. 그동안 일부 개인투자자들이 공모주 청약을 재테크 수단으로 활용하면서 경쟁이 치열해졌는데, 과도한 경쟁을 막기 위한 이유인 것 같아요
2025년 5월 공모주 몇 개만 살펴볼까요? 이뮨온시아 50주 / 바이오비쥬 20주 / 달바글로벌 10주
✅ 예시
[ A 기업 공모가 : 2만 원 ]
- 최소 청약수량 : 10주
👉 10주 신청 시 증거금 50%인 10만 원 계좌에 입금
(증거금 50% : 20,000원 X 10주 = 200,000원 X 50% = 100,000원)
- A증권사가 균등 50%, 비례 50% 배정일 경우
👉 10주 넣으면 균등 배정 대상
👉 100주 이상 넣으면 비례도 노릴 수 있음(하지만 경쟁률이 변수)
💬 정리해볼까요?
- 공모주는 균등 + 비례 두 가지 방식으로 배정
- 최소 청약 수량은 10 ~ 50주, 증거금 50%만 있으면 참여 가능
- 소액으로도 참여 가능하니 겁먹지 말고 시작해보세요!
'머니맵(MoneyMap) > Money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모주란? 따상? 수요예측? 용어 정리 (8) | 2025.05.01 |
---|---|
2025년 5월 공모주 청약 일정 모아보기(수정) (11) | 2025.04.30 |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등록 방법 l 티스토리 (3) | 2025.04.29 |
티스토리 애드센스 승인 후기(?) (3) | 2025.04.26 |
한국은행 기준금리 동결! 내 대출 이자는 어떻게 될까? (2) | 2025.04.20 |